제목 | 너...정말 6600 이야? 거짓말 아냐?! | ||
---|---|---|---|
작성자 | (admin) | 조회수 / 작성일 | 14265 / 2005-06-27 00:00:00 |
최근 들어 GeForce 6600 제품군 들 중 DDR3 메모리를 장착하고 쿨링을 강화한 변종들의 출시가 줄을 잇고 있다. 6600 GT 제품군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에 거의 대등한 성능, 또한 비슷한 오버클럭 능력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사랑에 힘입어 그래픽 카드를 유통 또는 수입하는 업체들은 조금이라도 소비자에게 더 강력한 어필을 위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가격을 더 낮게, 더 좋은 쿨러, 더 뛰어난 메모리, 더 높은 오버클럭 능력 등 조금이라도 앞서기 위한 경쟁은 소비자들이 제품을 선택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 많은 제품들 중 얼마전 에버탑에서 출시한 EVERTOP GeForce 6600 EZ-Perfect 는 6600 변종 제품들 중 유일하게 1.6ns DDR3 메모리를 부착한 유일한 제품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과연 이 제품의 메리트는 어느 정도 일까? 이제 그 궁금증을 조금이나마 풀어보고자 최근 선택의 기준이 되는 점을 위주로 하여 테스트하겠다.
원래 6600의 레퍼런스는 코어 클럭 300Mhz, 메모리 클럭 250(500)Mhz 이다. 그러나 이 제품은 코어가 400Mhz, 메모리가 무려 1Ghz로 레퍼런스보다 훨씬 높은 클럭이며 6600 GT의 코어 500Mhz, 메모리 1Ghz와 거의 동등한 클럭을 보여준다. 6600 GT와 6600의 차이점은 클럭 차이만 있을 뿐 아키텍쳐 자체는 완전 동일하기 때문에 기본 클럭에서도 6600 GT와 거의 동등한 성능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에버탑 제품군에 있어 가장 큰 특징이 잘만社의 VF-700 VGA 쿨러가 왠만한 제품에는 거의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다는 점이다. 필자도 세컨 컴퓨터의 6600 GT 제품에 기본 쿨러를 떼어내고 위와 같은 쿨러를 장착했는데 정말 조용하다. 그 조용함에 비해 쿨링 성능은 정말 대단했다. 위 쿨러의 가장 큰 장점은 저소음에 코어 온도를 확실히 낮추어주는 것은 기본이고 거기다 풍부한 풍량을 바탕으로 메모리까지 쿨링해주는 효과가 있어 메모리 오버 클럭에 조금 더 유리함을 제공해준다는 것이다. 잘만 쿨러 아래 메모리 부분에는 방열판이 부착되어 있다. VF-700의 장점인 메모리 쿨링 효과에 방열판을 덧붙였으니 카트라이더의 부스터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지 않을까? VF-700과 메모리 방열판을 확대해서 촬영해보았다. 정말 절묘하게 간섭이 거의 없어 사용하는데는 별 지장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잘만 쿨러를 떼어내고 기판 및 전원부를 살펴보면 6600 GT와 거의 동일한 기판과 전원부를 구성하고 있다. 전원부가 6600 GT에 비해 아주 약간 다르지만 그렇지 못한 6600 GT 제품들도 많기에 이 정도면 충분하다. 심장부인 코어 부분이다. GeForce 6600 이라는 표기가 명확하게 보인다. 쿨러를 분해하거나 재조립할 때 한가지 유의할 점이 있다. GeForce 6 시리즈의 코어가 장력에 약하기 때문에 코어가 갈리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 제품의 가장 큰 장점 부분이다. 지금까지 국내에 출시된 모든 6600 변종 제품을 통틀어 1.6ns 메모리를 장착한 유일한 제품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거의 대다수의 6600 GT 제품들도 2.0ns 메모리를 장착하고 있으니 더 이상 말할 필요가 있겠는가!? GeForce 6600 시리즈는 컴포넌트 출력이 칩셋 자체가 기본으로 지원된다. 이 제품도 컴포넌트 케이블을 기본 제공하여 HDTV와 연결하여 깨끗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판 전면부에 'MADE IN TAIWAN' 이라는 표기가 눈에 띈다. 위 부분에 저와 같은 표기를 하는 제품은 Prolink社밖에 없다. 따라서 이 제품은 Prolink 제품임이 밝혀진 셈이며 상대적으로 저렴한 'Made in China' 제품들 보다 기판의 완성도가 조금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유저는 위 부분이 무엇인지 알 것이다. 6600 GT 이상의 제품군에서 2개의 그래픽 카드를 연결하여 SLI Multi-GPU를 활성화 하기 위한 슬롯 부분이다. 현재 대부분의 6600 변종 제품들이 6600 GT와 동일한 기판을 쓰는 관계로 위와 같은 부분이 있지만 SLI 구현은 아직까지 불가능하다. 그러나!! 아래 부분에 반전이 기다리고 있으니 기대하시라~~ 지금까지 간단하게 외관을 살펴보았다. 여타 변종들과 비교하여 거의 동일한 기판을 보여주고 있지만 1.6ns의 메모리를 장착하고 있다는 것이 타 변종과 비교하여 한 발 앞설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제 볼 것은 다 보았으니 다음은 무엇이 나올지 알 것이다. 바로 벤치마킹이다. 성능의 척도 측정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3DMark 05와 03, Doom3 로 테스트 해보았다.
벤치는 디폴트 클럭인 400/1000Mhz와 거의 최대 오버 클럭 상태인 580/1200Mhz로 측정하였다. 물론 오버 클럭 상태에서는 그래픽 깨짐이 전혀 없는 상태였음을 밝혀둔다. 3DMark 05에서의 그래프는 위와 같다.디폴트 클럭에서도 6600 GT와 거의 근접하는 점수를 보여주고 있으며 오버했을 경우는 당연히 6600 GT의 기본 클럭을 능가한다. 3DMark 03에서의 점수는 위와 같다. 해상도 1024에서는 오버 시 점수가 거의 1만점을 육박하는 점수를 보여주고 있다. 참고로 6800 제품을 오버 했을 때 1만점을 겨우 넘기니 대단한 점수라 할 수 있다. nVIDIA 제품군에서 강세를 보여주는 DOOM III 게임을 간단히 측정해 보았다. 디폴트 상태와 비교했을 때 오버 상태에서 상당한 프레임 향상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1280 해상도에서 그 향상이 두드러진다. 간단하게 3가지 항목에 대한 성능 측정을 해보았다. 원 클럭에서도 6600 GT 제품군과 거의 대등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지만 더 놀라운 점은 오버 능력이다. 6600 GT 제품군의 통상적인 오버율은 코어가 550~600Mhz, 메모리가 1150~1200Mhz 사이 인 점을 감안하다면 6600 GT와 동등한 오버율을 보여주고 있다. 거기다 소위 말하는 뽑기만 성공한다면 그 이상의 오버도 가능하니 대단하지 않은가? 이제 덤으로 한가지를 더 소개하도록 하겠다. 많은 유저들이 6600 변종은 SLI 구현이 불가능 한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SLI 구현이 가능한 제품도 있으니 아래 내용을 참고하도록 하자.
먼저 필자가 테스트하기 위해 받은 이 제품의 코어 부분을 자세히 살펴보자. 붉은색 원 부분을 보면 A2 라고 적혀 있다. 코어가 리비젼 A2라는 뜻으로 6600 GT 바이오스를 덮어 씌울 경우 SLI 구현이 가능한 리비젼이다. 최근 6600 코어를 살펴보면 대부분 A4 리비젼일 경우가 많았는데 운이 좋게도 필자가 샘플로 받은 제품은 A2 코어였다. A2라는 것을 알았을 때 가만히 있을 필자가 아니었다. 곧바로 SLI 테스트를 위해 필자의 시스템에 장착하였다.(사무실의 보드에서는 SLI 구현이 불가능한 시스템 이었기에 불가피하게 SLI 테스트는 필자의 시스템에서 테스트하였다.)
테스트 시스템은 위와 같다. 샌디에고 3700+를 2.7Ghz로 오버한 상태이며 체인텍 6600 GT와 에버탑 6600 EZ-Perfect를 가지고 SLI 구현을 시도하였다. 물론 SLI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제품을 사용해야 하지만 다른 제품을 사용할 경우 동일한 바이오스를 2개의 제품에 같이 씌워주면 SLI가 정상 작동하게 된다. 일단 바이오스는 Prolink社의 6600 GT 바이오스를 추출하여 2개의 제품에 동일하게 덮어씌워 주었다. 바이오스를 덮어쓴 후 두 제품을 보드에 장착하고 SLI 다중 GPU 활성화 메뉴를 활성화 한 상태이다. 6600 GT 바이오스를 덮어 썼으므로 그래픽 카드로 6600 GT로 인식한다. SLI를 활성화하고 코어와 메모리 클럭을 각각 550Mhz, 1.12Ghz로 오버하여 테스트를 진행 하였다. 물론 최대 오버는 570Mhz/1.15Ghz까지 그래픽 깨짐 없이 가능하였지만 필자의 시스템이 조금 강력한 쿨링을 사용하고 있는 터라 통상적인 환경을 감안하여 조금 낮추어 테스트 하였음을 양해 바란다. SLI 구현 후 550/1120으로 오버한 후 3DMark 05와 03의 점수를 측정한 결과이다. 05에서 7000점을 넘겼으며 03에서는 무려 15000점을 넘긴 놀라운 점수이다. 위 점수는 6600 GT 2개를 가지고 SLI를 구현한 것과 동일한 결과(동일한 클럭일 경우)를 보여준다.
지금까지 EVERTOP GeForce 6600 EZ-Perfect 제품을 살펴보았다. 많은 6600 변종 제품들이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는 시점에서 이 제품은 타 변종보다 약간 더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어 아쉬운 부분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에버탑의 사후 지원, 1.6ns의 메모리, 더 높은 디폴트 클럭 등은 그 만큼의 가치가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최근 nVIDIA에서 발표한 드라이버에서 골드핑거의 연결 없이 SLI가 가능하도록 구현해 놓았다. 따라서 SLI 슬롯이 없는 기판에서나 SLI 슬롯이 있어도 SLI가 불가능 했던 모든 6600 변종 제품들도 SLI가 가능하다는 말이된다. 아래 링크를 따라가보면 골드핑거를 연결했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의 성능을 비교한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링크를 살펴보면 아직까지는 골드핑거를 사용했을 때가 조금 더 높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제 막 등장하기 시작한 드라이버이기 때문에 갈수록 그 성능의 편차는 줄어들 것이라 필자는 생각한다. 그렇다면! 이제 6600 GT의 설자리는 더욱 좁아지게 되고 6600 변종 제품들은 더 높은 인기를 누리게 될 것이다. 그 다양한 변종들 중에 EVERTOP GeForce 6600 EZ-Perfect 제품은 더욱 높은 디폴트 클럭은 물론 1.6ns의 메모리와 잘만 쿨러로 더욱 높은 오버 수율을 제공함으로써 한 발 앞서가는 변종이 되지 않을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