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좋은쇼핑 가격비교 - 최저가 쇼핑 참좋은 쇼핑 가격비교 사이트
사업자 딜러회원 무료신청, 저장공간과 트래픽 무제한 무료
제목 이젠 그들의 기술력을 주목할 때이다! BenQ CB523C & DW1640
작성자 마운틴 (admin) 조회수 / 작성일 6878 / 2005-07-11 00:00:00

이젠 새삼스레 말하기엔 진부함마저 들겠지만 인터넷 및 멀티미디어 관련 기술들이 발전하면서 이와 관련된 파일들의 용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고 있다. 특히 초고속 인터넷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유저라면 하루가 다르게 늘어나는 자신의 데이터들로 부족한 HDD의 공?/textarea> seq varchar(18) cid varchar(120) is_admin tinyint(1)

   and then   
Tip


포스팅에 앞서 : 각 제조사간 ODD 제품군들의 성능 편차 및 기술력이 평준화 되어 있는 요즈음, 하드코어 성능테스트보다는 제품 소개를 위시한 DVD 시장성등에 목적을 두고 작성되었다. 차후 기회가 된다면 -레코더기기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는- 미디어 호환성 테스트를 진행해보고 싶은 기대감과 아쉬움이 남는 바이다.

이젠 새삼스레 말하기엔 진부함마저 들겠지만 인터넷 및 멀티미디어 관련 기술들이 발전하면서 이와 관련된 파일들의 용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고 있다. 특히 초고속 인터넷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유저라면 하루가 다르게 늘어나는 자신의 데이터들로 부족한 HDD의 공간으로 고민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대안은? 현재 가장 효과적인 저장장치는 HDD겠지만 외장형 케이스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무한정 확장하기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보조기억장치 및 백업장치로 용량당 저렴한 비용 및 간단하게 그리고 반영구적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광 드라이브 레코더의 선택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상당히 저렴해진 광드라이브 레코더는 이젠 더 이상 파워유저만의 전유물이 아닌 누구라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범용적인 제품이 되어있다.

그러나 항상 새로운 것을 원하며 그에 따라 H/W 시장의 분위기 반전등 신기술에 대한 기대심리가 강한 하드웨어 시장에 있어 52배속으로 정점에 올라서면서 이미 발전성의 한계에 다다른 CD는 아무리 가격이 저렴하다하더라도 더 이상 주목할 만한 것이 되지 못한다. 더불어 CD 한 장을 레코딩하는 비용과 공 DVD 한 장의 레코딩 비용차이가 상당히 좁아졌으며 그 용량차이는 6배가 넘게 차이가 난다. 그리고 700MB의 용량은 더 이상 컴퓨터 유저에게 있어 메리트가 없을뿐더러 수 많은 라벨 정리안된 CD들 속에서 과거 레코딩 해 놓았던 데이터를 찾기란 힘든 일이다. 이에 비하여 트랙간의 간격이 좁고 고밀도화 된 DVD는 단면층 700MB의 CD에 비하여 싱글레이어 4.5GB의 용량을 가지고 있으며 한면의 층을 2개로 만들 수 있는 듀얼레이어 방식을 이용하면 8.5GB를 양면 모두를 이용한다면 17GB의 용량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DVD를 이용한 백업은 관리/이동등 여러모로 있어 유리한 것이 사실이다.

이렇듯 -물론 용량적인면을 생각한다면 아직까지도 부족한 용량이겠지만- 분명한 건 여러모로 CD보다는 DVD가 활용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이제는 더욱 유리하다는 것이다. 레코더 구입계획에 있는 사용자라면 DVD 와 CD 레코더사이에서 고민해보았을 것이다. 현재의 상황에서 이젠 이런 고민의 해답은 이미 내려진 것은 아닌지, 그리고 조금 늦은 감이 있는 고민은 아닐까하는 생각을 조심스레 해본다.

필자 역시 얼마전까지만 해도 700MB의 CD를 주로 사용하고 있었고, 대용량의 데이터를 주로 다루지 않는 관계로 표준이 정해지지 않은 혼돈의 DVD 시장에 대하여 부정적인 입장이었으나 최근 가격의 저렴함 및 다양한 포맷을 하나의 제품내에서 읽고 쓸 수 있으므로 그 기우는 사라진지 이미 오래다. 또한 사용하기 전 그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지 못했지만 일단 구입 후에는 CD보다는 DVD를 더욱 많이 이용한다는 것이다. 아마 DVD 레코더 사용자중 대부분이 같은 생각일 것이다.

+R 및 -R 진영간의 표준화 전쟁이 LG전자의 멀티 포맷 지원 제품 및 충격적인 가격 반란등으로 작년 2004년은 DVD 레코더 보급의 원년이라 할 수 있겠다. 현 시점에서는 더 이상 +냐 -를 고민할 필요도 없고 구매 가격 역시 업체간 가격인하로 큰 고민없이 구매할 수 있는 제품이 되었다. 그러나 아직 현재의 DVD시장도 풀어야할 숙제가 많다. 배속 경쟁의 막바지에 이른 듯한 16배속의 레코더가 이미 출시되었지만 그에 따른 16배속 지원 미디어의 부족과 미디어에 따른 호환성 부족/에러 문제, 배속 경쟁에서 자연스레 옮겨가며 주목받고 있는 8.5GB의 듀얼레이어 지원 미디어 역시 아직은 가격이 비싸기 때문이다. 또한 DVD 레코더 시장의 생명력이 의외로 짧은 것이라는 예견을 만들어 낸 도시바/NEC등 포럼의 20.5GB HD DVD와 LG/소니/삼성/마쓰시다등 포럼의 27GB 블루레이(이미 시장에 출시되었다.) 소식도 만만치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발전 가능성이 충분한 제품이고 기대감도 있기에 듀얼 레이어 레코딩 및 16배속 지원 레코딩 제품은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BenQ의 52x CD-R / 32x CD-RW / 52x CD-ROM / 16x DVD-ROM 의 콤보 드라이브 CB523C와 8x DVD+R DL / 8x DVD+RW / 6x DVD-RW / 16x DVD±R 의 DW1640 역시 이러한 의미를 담고 있는 제품들이라 할 수 있겠다.

모델명

CB523C

성능

[DVD-ROM]
데이터 전송률 / 읽기 : 177.28 Mbit/sec (16X, Max.)
Access time: 130 ms

[CD]
CD-R 데이터 전송률 : 7800 KByte/sec (52X Max.)
CD-RW 데이터 전송률 : 4800 KByte/sec (32X Max.)
CD-ROM 데이터 전송률 : 7800 KByte/sec (52X, Max.)
Access time : 120 ms

인터페이스

E-IDE / ATAPI

IDE 모드지원

PIO mode 0/1/2/3/4
DMA mode 0/1/2
UDMA mode 0/1/2

버퍼 사이즈

2MB

펌웨어

플래시 메모리 업그레이드 가능

쓰기 모드

Disc at Once (DAO)-Raw, Session at Once (SAO) and Track at Once (TAO) recording, Mt. Rainier

디스크 사이즈

80 and 120 mm discs

디스크 포맷

[DVD]
DVD+R DL 8.5GB, DVD+R 4.7GB, DVD+RW 4.7GB, DVD-R 4.7GB (closed session), DVD-RW 4.7GB (closed session), DVD-ROM

[CD]
CD-I, CD-R, CD-RW, CD-ROM, Video CD, CD Text, Enhanced CD, Photo-CD, Bootable CD, Data CD, Audio CD, SVCD

전원 요구 사항

DC: 5V ± 5%, 0.8A
DC: 12V ± 10%, 1.9A

환경 조건

Operating temperature: 10~90% RH 습도에서 0°C ~ 50°C(32°F ~ 122°F) 일 떄
Non-operating temperature: 5%~95% RH 습도에서 -40°C ~ 65°C(-40°F ~ 149°F) 일 때

안전성

MTBF: 125,000 POH (25% duty cycle)

크기/무게

크기 : 146 X 41.5 X 178 mm (W x H x D)
무게 : 850 g

운영체제

Windows XP / 2000 / 98SE

최소 시스템 사양

IBM PC 호환
Pentium II 400MHz CPU
128MB DRAM
150MB free HD space for installing writing software.

패널 디자인

전면 : Open/Stop button, reading/writing indicator
후면 : IDE bus connector, power supply connector, master/slave jumper, digital audio output connector, analog audio line-out connector

현재 대용량의 레코더가 필요없는 사용자나 컴퓨터를 구입하게 되면 장착되는 ODD중 CD레코더 기능 및 DVD를 읽을 수 있는 콤보 드라이브가 가장 인기가 있다. 제품 사양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CB523C는 16배속의 DVD 읽기 속도와 52배속의 CD-R, 32배속의 DVD-RW, 52배속의 CD 읽기 속도를 가지고 있는 콤보 드라이브이다. 버퍼 2MB와 52x32x52 의 속도는 최근 콤보 드라이브의 성능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최근 DVD-R/+R 및 듀얼레이어 DVD등 여러 종류의 DVD가 혼재하고 있는 상황에서 DVD-ROM의 읽기 성능은 그 어느때보다도 중요하다. 구형 DVD-ROM의 경우 DVD-R 은 읽을 수 있지만 그외의 종류는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CB523C는 DVD+R 은 물론 8.5GB의 듀얼레이어 DVD+R 및 DVD±RW 까지 읽어내어 ROM으로서의 합격점을 줄 수 있다.

모델명

DW1640

성능

DVD+R DL :
데이터 전송률 / 더블레이어 쓰기 : 88.64 Mbit/sec (8X)

DVD+R/+RW :
데이터 전송률 / 쓰기 : 177.28 Mbit/sec (16X)
데이터 전송률 / 다시쓰기 : 88.64 Mbit/sec (8X)

DVD-R/-RW :
데이터 전송률 / 쓰기 : 177.28 Mbit/sec (16X)
데이터 전송률 / 다시쓰기 : 66.48 Mbit/sec (6X)

DVD ROM :
데이터 전송률 / 읽기 : 177.28 Mbit/sec (16X, Max.)
Access time: 120 ms

CD :
데이터 전송률 / 쓰기 : 7200 KByte/sec (48X)
데이터 전송률 / 다시쓰기 : 4800 KByte/sec (32X)
데이터 전송률 / 읽기 : 7200 KByte/sec (48X, Max.)
Access time: 120 ms

인터페이스

E-IDE/ATAPI

IDE 모드 지원

PIO mode 0/1/2/3/4
DMA mode 0/1/2
UDMA mode 0/1/2

버퍼 사이즈

2 Mbytes

쓰기 모드

[DVD+R/+RW]
DVD Data and Video

[CD-R/-RW]
Track-at-Once, Disc-at-Once, Multisession, Packet Writing (fixed & variable packet), CD Digital Audio, Direct-Over-Write on CD-RW, Test Write

디스크 사이즈

[DVD]120 mm disc
[CD] 80 and 120 mm discs

디스크 포맷

[DVD]
DVD+R DL 8.5GB, DVD+R 4.7GB, DVD+RW 4.7GB, DVD-R 4.7GB (closed session), DVD-RW 4.7GB (closed session), DVD-Video, DVD-5, DVD-9, DVD-10, DVD-18

[CD]
CD-DA, CD-ROM XA (m1, m2f1/m2f2), CD-R, CD-RW, Bootable CD, Photo CD (single & multi-session), Video CD, Super Video CD, CD-Extra, Mixed-mode CD, CD-Text

오디오 성능

Signal-to-Noise ratio: 76 dB min.
Number of stereo channels: 2
Analog audio line output: 0.75 V RMS at 470 Ohm
Analog headphone output: 0.6 V RMS at 34 Ohm
CD sampling frequency: 44.1 KHz

사용 전원

+5V±5%, ripple: 100mVpp
+12V±10%, ripple: 200mVpp

환경 조건

Operating temperature: 8~80% RH 습도에서 5 °C~50 °C 일 때
Non-operating temperature: 5~95% RH 습도에서 -40 °C~60 °C 일 때

안정성

MTBF: 125,000 POH (20%)
Non-recoverable read error < 1 block in 10 12 bits (CD and DVD)

크기 및 무게

크기 : 146 X 42 X 178 mm ( 가로 X 세로 X 높이 )
무게 : 820g

펌웨어 업그레이드

플래시 메모리 업그레이드 가능

패널 디자인

전면: 트레이 개폐버튼, 상태LED
후면: 40-pin ATA-2 dual row flat-cable connector, 4-pin DC power connector, 3-position device jumpers, digital audio output and analog audio output

운영체제

Windows XP, 2000, Me, 98SE

최소 시스템 사양

IBM PC 호환
Pentium III 550MHz CPU
128MB DRAM
소프트웨어 인스톨의 CD/DVD 레코딩을 위해 100MB 의 하드디스크 여유 공간이 필요합니다 .
(10GB 의 DVD 쓰기를 위한 ) CD 이미지 레코딩을 위해 1GB 의 하드디스크 여유 공간이 요구됩니다 .

DW1640 역시 DVD 레코더 시장에 있어 가장 인기있는 16배속 DVD레코더 이다. DVD±R 미디어를 최대 16배속으로 레코딩할 수 있고, 듀얼레이어를 이용하여 8.5GB의 데이터를 8배속으로 DVD+R DL 미디어에 레코딩 할 수 있다. DVD±RW 역시 각 각 8배속(+) 과 6배속(-)을 지원하고 있다. CD/DVD 의 읽기 능력 역시 각 각 48배속과 16배속의 속도로 현존하는 대부분의 포맷을 읽을 수 있다. 여기서 신제품으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부분을 볼 수 있다. 대부분의 레코딩 속도가 현존하는 최고 배속을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R 듀얼레이어 쓰기 속도가 근래의 제품에서 볼 수 있는 5/6배속이 아닌 8배속을 지원하고 있다. 물론 장당 1만원 가까이 하는 미디어 가격도 문제겠지만 2.4배속의 듀얼레이어 미디어가 대세(사실 대세도 아니다. LG, RiTEK/RiDATA, 리코, 멜로디 비쯔비시, 버바팀, 이메이션등 몇몇 메이저급 미디어 제조사에서 출시/소량 유통되고 있다.) 인점을 감안했을 때 '빛 좋은 개살구' 이겠지만 이 부분은 DW1640 및 BenQ의 뛰어난 성능과 제조기술력을 반증할 수 있는 자랑(?)거리라 할 수 있겠다. 자, 이제 제품의 외형적인 특징 및 BenQ 만이 가지고 있는 독창적인 기술을 살펴보도록 하자.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제품 상단부에 타 ODD 제품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디자인이 적용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BenQ 만의 독창적인 듀얼 쿨링 시스템(DCS) 기술이 적용된데 기인한 것으로 잠시 후에 살펴보도록 하고 외형을 보도록 하자. 전면 베젤은 흔하게 볼 수 있는 아이보리 색상의 베젤이 사용되었으며(동일명/스펙의 블랙 베젤 모델도 출시되어 있다.) 양각/음각이 깨끗하게 라운딩 처리된 디자인을 기본으로 상태표시 LED와 이젝트 버튼만을 배치하여 심플한 이미지를 극대화하고 있다.

좌측으로부터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 및 IDE 설정 점퍼, IDE 케이블 연결 단자, 그리고 4핀 파워단자까지 후면 역시 전형적인 ODD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트레이 내부는 블랙색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레코딩할 때 나나탈 수 있는 트레이 내부의 레이저 난반사 및 파형등의 난조를 최소화하여 미디어 인식률의 향상 및 레코딩의 퀄리티를 상승하기 위함이다. 과거 플렉스터 제품군에서 선보인 것으로 신선하지는 않지만 신뢰감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이외 8cm의 미니 디스크도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 되어 있으며 미디어의 수직 장착이 가능하도록 후크 또한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또 한가지 다른 점을 볼 수 있다. 바로 DW1640 트레이의 앞쪽으로 스펀지형태의 접착부를 볼 수 있는데 이는 트레이가 닫힐 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음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역시 BenQ만의 세심함이 엿보이는 부분이다.

잠깐 안쪽을 들여다 보자. 여느 ODD가 다 그렇겠지만 BenQ 제품의 내부 역시 무척 단단한 첫 느낌을 전해주었다. 트레이와 마찬가지로 기판 및 기타 부속물을 제외한 전체가 블랙으로 마감되어 있으며 기판 역시 오래전 ODD 제품군들보다 작아져 기술력이 많이 발전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물론 이 부분은 BenQ의 것에 국한된 것이 아닌 최근 제품들에게서 볼 수 있는 현상일 것이다. 전체적으로 군더더기 없는 깔끔함과 단단함이 보여지는 내부 기판 설계등 높은 신뢰감이 드는 디자인이었다.

ODD제품의 특성상 읽기 능력의 신뢰성과 진동으로 인한 소음등 각 제조사마다 고유의 기술들을 적용하고 있는 BenQ의 제품 역시 이러한 부분을 찾을 수 있다. 기어방식에 비하여 저소음을 구현할 수 있는 벨트구동 방식과 잔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부싱등을 기본으로 하여 BenQ의 독점 기술인 Write Right Technology 가 적용되어 있다. 이는 정확한 피트라인이 형성될 수 있도록 픽업에서 생성되는 레이저각도를 제어하여 미디어와 수직을 이루게게 해주는 Tilt Control 과 작동 중 전원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레이저 파워의 최적함을 꾀하는 WOPC II (Walking Optimal Power Control II) 의 두가지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DW1640의 경우 본 기술을 이용하여 읽기 및 쓰기 품질의 향상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자, 이제 BenQ 만의 독창적인 기술을 살펴볼 때이다. 상위 이미지를 자세히 보면 이전 ODD 제품군에선 전혀 찾아 볼 수 없는 독특한 디자인의 두 곳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BenQ 고유의 이중 냉각 시스템(D.C.S. - Dual Cooling System) 적용에 따라 디자인된 것으로 빠른 읽기와 쓰기의 반복으로 발생할 수 있는 열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기술이다. 열문제는 비단 CPU와 VGA에 국한된 것이 아닌 최신 컴퓨터 사용자라면 반드시 생각해봐야 할 문제인 것이다. ODD 제품군 역시 별도의 쿨링시스템을 심각하게 고려해야할 CPU와 VGA 처럼 심각한 것은 아니지만 배속이 높아짐에 따라 발생하는 열을 잡아야 하는 것은 레코딩의 안정성과 신뢰성에 있어서는 매한가지 이다. 조금 더 자세히 D.C.S. 에 대하여 살펴 보자. 필자도 처음, 막연히 '듀얼 쿨링 시스템'이라고 하여 단순하게 쿨러가 2개가 사용된 방식을 떠올렸으나 그런 것은 아니었다.

① 이미지는 상판을 뒤집었을 때 볼 수 있는 모양으로 Air Flow Cooling System(공기 순환 냉각 방식 시스템) 이라고 하여 읽기와 쓰기모드에서 모터의 회전시 함께 돌게 되어(자체는 무동력이다.) 내부의 공기를 인위적으로 순환 시켜 열을 신속하게 드라이브 밖으로 배출되는 기술이다.

② 이미지는 제품의 오른쪽 측면에서 볼 수 있는 모양으로 Anti-Dust Cooling System(방진 냉각 시스템) 이라고 하여 작동시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이 부분은 외부의 먼지가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Anti-Dust' 라고 명명 되었는 듯 하다.

상위의 이미지는 A.F.C. 및 A.D.C. 두 가지 냉각 방식이 적용되어 실제 작동 모습을 이해하기 쉽도록 구현한 다이어그램으로 본 이중 냉각 시스템(D.C.S. - Dual Cooling System) 이 적용된 CB523C 와 DW1640 은 작동시 발생 할 수 있는 열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주어 리딩과 레코딩 시의 신뢰성을 높여줄 수 있는 부분이다.

콤보 드라이브, CB253C 의 경우 레코딩 프로그램으로서 범용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nero 가 포함되어 있어 별도의 지출없이 바로 레코딩 작업할 수 있으며 16X DVD 레코더인 DW1640 역시 nero 가 포함 되어 있어 큰 어려움 없이 활용할 수 있다. 또한 DW1640 의 경우 최적화된 DVDRW 제어를 위하여 BenQ QSuite 가 제공되는데 이는 Book Type Management, QScan, Test Write, WOPC enable/disable 의 유틸리티가 내장된 것으로 드라이브의 설정을 쉽게 변경할 수 있는 툴이다.

대만에 본사를 두고 있는 BenQ 그룹은 입출력 장치를 비롯한 컴퓨터관련 기기, 디스플레이, 디지털 카메라, 모바일폰, 무선 네트워킹, 개인용 컴퓨터 및 스토리지 비즈니스등 10개의 자회사를 독립적으로 운영, 상호간 자원 공유를 통하여 BenQ의 제품 라인을 관할/유연하게 움직이고 있다. 아직 국내에는 큰 인지도가 없는 것이 사실이지만 해외에서는 이미 수준급의 브랜드로 평가받고 있으며 최근, 세계 3대 디스플레이 제조사인 AU Optronics 의 LCD 제품군과 PHILIPS BenQ(필립스와의 합작법인) 의 ODD 제품군등을 국내에 제이씨현과 페타미디어를 통해 공급하면서 국내에서도 서서히 인지도를 넓혀 가고 있다. 특히 DVD 레코더 제품군은 탐스하드웨어 가이드에서 Editor's Choice를 획득한 것처럼 해외 미디어에서 이미 호평을 받았던 전례도 있고 얼마전 HP에 의해서 소개된 라벨 인쇄기술인 라이트 스크라브 지원 제품군 역시 BenQ의 OEM 이며 자체 BenQ모델로도 생산하는 등 BenQ의 광학 기술력은 LG의 아성에 맞서고 있다.

전 삼성물산 직원에 의해 설립, 기흥서 DVD만 월 2백만장이상 생산하는 등 국내 최대의 DVD 미디어 제조사인 BeAll의 DVD 미디어를 유통하고 있는 (주)페타 미디어는 DVD 솔루션만을 전문적으로 취급하여 DVD 솔루션 전문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또한 통념상 DVD 미디어는 AS불가 항목으로 인식되어지지만 과거 페타 미디어에서는 DVD까지 AS를 실시하는 등 철저한 사후관리 시스템을 정착하려 노력하고 있다.

제조사와 수입원을 이렇게 언급하는 이유는 BenQ의 기술/제조력을 보았을 때 상대적으로 국내에서는 인지도가 낮은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비올의 관계자와 인터뷰시 2003년 4월 설립으로 그 역사는 짧지만 DVD 솔루션 기업으로서의 강한 자신감과 고집적인 프라이드를 느낄 수 있어 강한 신뢰감을 느낄 수 있었다. 이것이 뜻하는 바는 기술의 우위에 있는 BenQ와 그리고 사후 관리 및 강한 자신감을 가지고 있는 수입/유통사 페타미디어의 만남(200년 9월 BenQ DVD 레코더 한국 수입총판 선정)과 파트너쉽으로 국내에서도 BenQ의 브랜드 가치가 더욱 올라갈 수 있을 것같은 현재진행형으로서의 기대심리에서이다. 브랜드 벨류는 제조 기술력 하나만 가지고고 얻어지는 것은 아닐 것이다.

지금까지 간략하게나마 BenQ의 ODD 제품군을 살펴보았다. 사실 유저입장에서 본다면 지금까지 거론한 내용들보다 '좋다는 건지, 나쁘다는 건지... 그래서 믿고 구입할 만큼 제품성능이 타 제품군에 비하여 좋다는 건지...' 와 같은 일종의 제품 구매 가이드의 내용을 더 선호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각 ODD제품군들의 성능이 평준화되어 있는 만큼 어느 제조사의 제품을 구매하건 큰 불만없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서두에 잠깐 언급하였듯 하드웨어 시장은 그렇다. 신기술과 그에따른 신제품이 발표되고 가격은 비싸고 소비자의 불만이 나오고 덩달아 침체되었던 이전 제품군들이 가격하락과 동시에 되살아나고... 그러곤 어느 순간이 지나면 그 신기술이 적용된 제품이 주류가 되어 마치 당연한 것처럼 사용되고... 컴퓨터 하드웨어 시장은 이렇게 반복되어 가고 있다. 그래서 하드웨어 신기술 및 신제품은 시장에서건 유저들에게서건 늘 환영과 관심의 주된 대상이 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BenQ의 광학제품 역시 시장에 반항을 불러일으킬 만큼 특별난 것은 아니지만 기본적인 성능외에 타 제품군에서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함이 곳곳에 묻어있다. 이는 라이트 스크라이브 기술이 적용된 제품의 생산을 비롯하여 기본 성능에 충실한 평범한 제품들을 출시하는 타 제조사와는 달리 작더라도 그 무엇인가 특별한 것을 적용시켜 출시하려는 BenQ사의 제조 기술력의 우의를 뜻하는 바이겠다.

아직 16배속 DVD±R 및 2.4배속 DVD+R DL 미디어 마져 보편화되지 않았을뿐더러 가격 또한 비싼 현 실정을 감안한다면 본 제품들이 지닌 장점들을 활용하기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새로 구입했을 경우의 가격적인 메리트와 언제나 그러했 듯 -아직 발전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시장이기에- 시간이 해결해 줄 것이다. 더불어 근래에 여기저기 BenQ의 배너와 리뷰등을 쉽게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강력한 마케팅 및 철저한 사후관리가 이루어 진다면 분명 BenQ 는 ODD 시장의 또 다른 강자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

Written Mount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