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디지털 카메라여, 나를 통하라~! 이동식 디스크와 카드리더기는 덤이다! | ||
---|---|---|---|
작성자 | 마운틴 (admin) | 조회수 / 작성일 | 6008 / 2005-08-31 00:00:00 |
사례1) 마운틴씨는 애지중지 아끼는 DSLR 카메라를 들고 휴가를 맞이하여 2박3일 일정으로 여행겸 출사를 떠났다. 당일코스로 잦은 출사를 즐겨왔던 마운틴씨는 가지고 있는 그동안의 경험으로 미루어 CF / 1GB 메모리카드로 충분히 담아내리라 생각했다. 처음접하는 낯선 풍경에 연신 셔터를 눌러대던 마운틴씨... 아뿔싸... LCD창에 떠 버린 "CF Full"... 당황하던 마운틴씨는 다행히도 카드 리더기가 설치된 근처 PC방을 어렵게 찾아 백업 후 계속촬영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 다음날 역시... PC방에서의 백업 과정이 너무도 힘들었던 마운틴씨는 어쩔 수 없이 상황에 따라 이미지 해상도를 바꾸어 가며 2GB 이상의 CF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구입해야겠다는 우울한 마음으로 여행을 끝냈다. 사례2) 업무상 중요한 데이터를 건네받아야 하는 마운틴씨. 전화 통화상 메모리에 넣어 가져오겠다는 말을 듣고 사용하고 있던 노트북을 챙겨 약속에 나간 마운틴씨... 당연히 USB 메모리이겠지... 헉... 그러나 상대방이 가져나온 메모리는 플래시메모리 카드인 SONY의 메모리스틱... 아뿔싸... 사례3) 친구와 함께 찾은 PC방서 열심히 웹서핑중이었던 마운틴씨. 이런... 그동안 찾으려고 해도 찾을 수 없었던 중요한 프로그램 발견. 그러나 용량이 300MB였기 때문에 메일로는 전달하기 어렵다고 파악한 마운틴씨는 마침 휴대하고 있던 친구의 디카에서 512MB MMC 메모카드를 빌려 저장할 수 있었다. 집에 돌아온 마운틴씨, 기쁜마음에 주머니에 넣어두었던 MMC를 꺼냈으나 헉... 열쇠꾸러미에 짙이겨져 회손당한 MMC... 아뿔싸... 사례4) 이전의 경험으로 OTG 기능이 내장된 외장 HDD 케이스를 구입한 마운틴씨. 디지털 카메라 동호회원 몇 명과 백업은 자신에게 맞기라며 출사 약속을 잡은 마운틴씨. 이런... 외장 HDD 케이스와의 연결을 위한 케이블은 자신의 것만 준비했던 마운틴씨... 다행히 몇 명은 케이블이 호환되어 연결이 가능했으나 일부 카메라에선 인식 불능... 망연자실... 고민) 다양한 사례를 겪었던 우리의 마운틴씨, 단.순.한. 고민을 시작한다. 외장형 HDD 케이스와 카드 리더기를 합쳐 놓은 제품은 없을 지... 외장케이스 누디앙과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카드등으로 잘 알려져있는 Storage Device 전문 기업, (주)이정시스템에서 우리의 마운틴씨의 고민을 해결해줄 제품을 출시하였다. "KING BYTE Data Bank" 가 그것이다. 제품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기본 2.5인치 HDD를 내장할 수 있는 외장형 케이스와 멀티 카드리더기를 합쳐놓은 제품으로 물론 단순히 두 가지만을 합쳐놓으면 제각각 따라 노는 의미없는 제품이 되어 버리고 만다. 눈치빠른 유저라면 최근 일부 HDD형 MP3 플레이어 및 외장케이스내장되어 서서히 주목받고 있는 OTG라는 기술을 떠올릴 것이다. KING BYTE Data Bank 는 이런 OTG 기술을 이용하여 내장 배터리와 함께 별도의 전원과 PC의 연결없이 원터치만으로 ①총 16가지의 플래시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내장 HDD로 백업받을 수 있는 제품이다. 물론 ②평상시에는 USB 2.0 의 일반 외장 HDD 케이스처럼 이용할 수 있으며 ③컴퓨터와 연결시 16 in 1 카드리더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동형 외장 디스크 및 OTG를 통한 백업 기능, 그리고 16 in 1 멀티 카드리더기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켜주는 독특한 성격의 Data Bank를 자세히 살펴보자.
PC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초당 최대 480Mbps의 USB 2.0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OTG 기능이 내장된 제품인만큼 충전식 1400mAh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사용되어 별도의 전원없이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16 in 1 멀티 카드리더기를 내장하고 있으며 내부 스토리지 장치로 노트북등에서 사용되는 2.5인치 HDD가 장착되어 단독 외장 HDD 및 카드리더기에 삽입된 메모리카드를 HDD로 백업할 수 있다. 그리고 종전의 외장 케이스에서 볼 수 없었던 LCD가 상단에 위치하여 제품의 상태를 한눈에 파악하기 쉬운 구조로 설계되 있는등 알루미늄 바디에서 오는 깨끗한 이미지와 동시에 흔히 볼 수 있는 2.5인치 외장 케이스 보다는 약간은 두꺼워 보이는 첫인상을 주고 있다.
80 x 137 x 27.5 mm... 일반 2.5인치 HDD를 장착할 수 있는 외장형 케이스와 비교 한다면 약간 크고 무거운 모습을 가지고 있다. 이 부분은 16 in 1 멀티 카드리더기와 LCD 등을 내장하고 있다는 면에서는 충분히 상쇄될 수 있는 부분이긴하지만 그래도 아쉽긴 아쉬운 부분이다. 필자 역시 2.5인 외장 HDD 케이스를 사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포켓사이즈의 초송형이 아니라면 이동시에는 결국, 가방에 넣고 다니기 때문에 큰 단점은 아닐 것이다. 또한 외형은 알루미늄 재질로 마감하고 있어 실버 컬러의 상당히 깔끔하고 시원한 느낌을 전해주며 알루미늄 바디로 인해 내부의 HDD로 인하여 발생된 열을 외부의 찬공기와 쉽게 융합될 수 있어 발열에 효율적으로 디자인되어 있다. ① Blue LCD ② OK / 서브 전원 버튼 ③ 메인 전원 스위치 ④ 외부 전원 어댑터 연결 단자 제품의 측면쪽에 다양한 카드 슬롯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미지에서 보는 바와 같이 Compact Flash/Micro Drive 시리즈와 Secure Digital 시리즈, Multi Media Card 시리즈, Memory Stick 시리즈, Smart Media Card 및 Trans-Flash 등의 총 16가지의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지원한다. 물론 RS-MMC, MS Duo, MS Pro Duo, Mini SD 및 T-Falsh 는 해당 메모리카드를 구입하면 함께 제공되는 어댑터를 이용해야 한다. 멀티 카드리더기의 경우 보통 SMC 슬롯부를 XD Picture 카드를 함께 쓰는데 본 제품역시 SMC 슬롯부에 자리는 마련되어 있지만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최근 올림푸스 디지털 카메라에 많이 사용되는 메모리 카드로서 OTG라는 부분에 있어 큰 단점이 될 수 있는 부분이다.
필자가 사용하던 삼성 SpinPoint 40GB/5400rpm 2.5인치 HDD를 장착하고 실전 테스트에 들어갔다. 본 제품은 서두의 스펙부분에서도 언급하였지만 -일반적으로 각 모바일 디지털 기기에서 FAT 방식의 파일시스템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호 호환성 및 안정성을 위해서인지- NTFS 파일시스템을 지원하지 못한다. 필자의 HDD역시 NTFS 파일시스템으로 포맷되어 있었기 때문에 "Device Reading Error" 메시지를 보이며 작동되지 않았다. 이에 파티션매직을 이용, FAT32 파일시스템으로 변경/포맷 후 정상사용이 가능하였다. DOS의 fdisk를 이용할 수 없는 USB 장비이기 때문에 NTFS를 이용하는 사용자라면 FAT32 로 운영되는 시스템에서 포맷을 하거나 파티션 매직과 같은 툴로 변환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HDD를 장착한 이후 조립을 완료하고 전원 스위치를 켜보도록 하자.
백업데이터가 담겨있는 HDD를 살펴보자. 루트를 보면 알 수 있듯이 각 메모리카드군별로 루트에 폴더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실데이터는 하위에 복사된다. 필자는 CF와 SD 그리고 MS 총 3가지 메모리카드를 백업했으며 마지막에 MS은 2번을 더 해보았다. 즉 MS는 총 3번 백업이 실시되었다. MS의 하위폴더에 들어가니 역시 백업할 때 마다 xxxxxx1 와 같은 형식의 총 8자리의 폴더명이 자동생성되어 총 3개의 폴더로서 백업 데이터들을 구분하고 있다. 형태가 다른 메모리카드나 동일한 메모리 카드라 하더라도 여러번 백업이 실시되을시에는 폴더가 자동 생성되어 데이터가 섞일 염려는 없다.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PDA, PSP, 다기능 휴대폰, 복합형 네비게이션,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비롯하여 모바일 전문 사이트와 잡지, 신문등에서의 별도 전문섹션등 가히 우리는 모바일시대에 살고 있다. (물론 아직도 목마르지만...) 뒤집어 생각해 보면 그 저장 매체 역시 함께 발전해왔고 저마다의 장점을 내세우며 다양한 형태의 메모리가 탄생되었다. 확장불가능한 내장 메모리를 시작으로 MP3 플레이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내장형 플래시 메모리와 Compact Flash / SmartMedia / MultiMedia / Memory Stick / Secure Digital 등 그리고 최근의 XD Picture, Trans Flash등 대부분의 모바일기기에서 저장매체로 사용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 이런 모바일 디지털기기의 저장매체속의 데이터를 자유도 높게 이용하려면 당연히 해당 기기를 컴퓨터와 연결해야만 한다. 케이블, -제품에 따라서는- 전용 드라이버등 컴퓨터와 연결하기위해선 여간 불편하게 아니다. 그래서 일까... 1개의 전용 매체를 지원하는 카드리더기가 등장하더니 이제는 필수품처럼 느껴질 만큼 다양한 형태의 메모리 카드를 all in 1 으로 지원하는 멀티 카드리더기까지 등장하였다. 외장 HDD/케이스 역시 마찬가지다. 다른 저장매체와는 비교불가의 강력한 대용랑을 무기로 하여 초기 주로 이용하고 있던 3.5인치를 내장한 투박하고 무겁운 그리고 어댑터를 반드시 연결해야 사용할 수 있는 외장 케이스부터 지금은 노트북등에서 사용되는 2.5인치/1.8인치 HDD를 이용한 가볍고 컴팩트함을 내세우며 저마다 세련된 디자인을 뽐내고 있다. 이런 2가지가 합쳐진다면? 라는 의문으로 시작한 KING BYTE사의 Data Bank... 특히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중인 유저라면 대용량 메모리카드를 늘 갈망했을 것이다. 더불어 블로그와 미니홈피등 개인중심적 성향의 인터넷 시대속에서 디지털 카메라가 가지는 의미는 상당할 것이고 자연스레 OTG 기능은 128MB의 메모리카드를 가지고도 무한 대로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쪽에 더 의미가 있겠다. 이런면에서 보았을 때 여타의 OTG 기능 내장 제품보다 단순함에서 출발한 '카드리더기가 내장된 OTG 외장 HDD 케이스'의 의미가 더 클 것이고 KING BYTE Data Bank는 해당 유저들에게 최선책의 만족감을 줄 만한 제품이다. KING BYTE Data Bank! 테스트 동안 제기되었던 NTFS 와 XD Picture Card의 지원 문제, OTG 전송속도 문제개선과 함께 LCD내 파일 리스트 뷰기능, OTG간 쌍방향 전송, 1.8인치 HDD를 내장할 수 있는 컴팩트화와 더불어 카드리더기와 같은 형식으로 USB 커넥터를 추가하여 USB 메모리도 백업할 수 있다면 진정한 모바일 백업장치로 자리메김할 것 이다.
|
![]() |